-
원격의료 데이터 시장을 고도화시키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뜬다실시간 트랜드 핫이슈 2021. 7. 29. 15:20
국내외 원격의료 현황
코로나로 인해 더욱 커진 헬스케어 시장
© fusion_medical_animation, 출처 Unsplash
최근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헬스케어 부문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투자 전문가들은 앞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가 의료 데이터 시장을 고도화해나가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에요. 해외에서는 이미 시대의 흐름을 읽고 원격의료를 본격화하고 있는데요. 브라질에서는 불과 1년전까지만 해도 브라질의 의료법상 의사를 동반하지 않고 환자가 다른 의사와 화상 상담하는 것이 금지되었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병원의 진료와 상담에 불편과 지장이 가면서 COVID-19 지속기간동안은 원격진료를 허용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원격치료에 대한 불신과 규제를 풀어나가지 못하여 천천히 조금씩 부분 시행해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병원이용내역 과 #투약정보 는 병원에 직접 가지 않고도 #건강보험공단 에서 조회할 수 있지만 이를 좀 더 쉽고 간편하게 보기 위해 위와같은 기능을 탑재한 건강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건강에 대한 관심 만큼이나 헬스케어 플랫폼들이 인기를 얻으며 빠르게 증가되고 있습니다.
the good & the bad
원격의료에 대한 장단점
원격의료의 장점
1. 의료 접근성 강화.
2. 비대면 진료 및 약배달을 통해 접촉 최소화.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코로나로 인해 병원 방문이 힘든 경우 접촉 최소화하며 이용 가능.)
3. 대기시간 단축 &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음.
(언제 어디서든 진료를 받아볼 수 있어서 직장인들에게 편리함.)
4. 의료 대상자 범위 확대
(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장기요양보험 1~3등급 노인, 가정폭력 및 성폭력 피해자,
산간 벽지 및 섬에 거주하는 주민, 국군 장병, 교정 시설 수용자 등 병원에 자주 가기 힘든 환경에 있는 사람. )
원격의료의 단점
1. 문제 발생시 원인 규명이 어렵다.
2. 의사가 '입증책임'을 질 우려가 있다.
3. 대형 병원 독점 우려
(대형 병원 과도 집중 현상으로 동네 의원 및 지방 병원의 진료 시스템 무너지거나 소외받을 가능성)
4.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노인층은 소외될 가능성
tilkoblet
비대면 헬스케어, 데이터로 연결되는 세상
건강관리도 내 손안에서 모바일로 간편하게 열람하고 조회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틸코의 건강관리 헬스케어API를 이용하시면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개발 비용을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데이터 연동 기반 API 서비스로 여러분의 비즈니스를 설계해드립니다.
Q. 각 API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상세 데이터는 어떻게 되나요?
- 건강검진내역 조회 API : 건강검진년도, 검진일자, 결과 코드, 진단 장소, 검진결과, 질환목록, 질환명, 항목별 검사결과
- 병원/약국 이용 이력 조회 : 이름, 진료 개시일, 진료형태, 처방횟수, 본인 부담금, 방문일수, 투약일수 , 공단 부담금
- 내가 먹는 약 API : 일련번호, 조제일자, 조제기관, 연락처, 투약목록, 약품코드, 제품명, 성분명, 함량, 1회 투약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일수
Grade Health Chain
건강관리도 플랫폼으로 효율성 있게
틸코의 건강검진내역 조회 API등을 이용해 '건강등급' 이라는 새로운 인덱스를 만든 고객사 그레이드헬스체인을 소개해드립니다. GHC는 개인 건강등급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및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어요. 재보험사에 다니던 4명의 어벤져스가 머리를 모아 만든 '로그(LOG)어플'과 GHC의 헬스케어 솔루션 로그(LOG)의 탄생비화와 어플 사용법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어요!
'실시간 트랜드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신예약 시스템 클라우드, 백신예약 대기는 이제 그만?!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붐 (0) 2021.08.03 재산세조회, 납부기간, 고지서 할인방법에 대하여~ (feat, 부동산 세금 종류 3가지!!) (0) 2021.07.30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납부 7월 26일까지 꼭 하세요! (0) 2021.07.21 7월 부동산 정책, 무주택자를 위해 새롭게 바뀌는 대출 정책 4가지! (0) 2021.07.20 소셜미디어 이용률 세계 2위 대한민국, 국내 SNS 인기순위는? (0) 202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