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랫폼 경제 대표사례! (feat. 우버,에어비앤비,쿠팡)실시간 트랜드 핫이슈 2021. 2. 18. 11:14
안녕하세요 #틸코블렛 입니다.
오늘은 플랫폼 경제란 무엇인지
대표적인 사례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랫폼 경제란, 플랫폼이라는 중재자가 경제를 주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용자들은 플랫폼 경제 내의 플랫폼 기업의 규칙을 따르게 되며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를 불러모아
거대한 규모로 몰리게 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
글로벌 시가총액 10위 내 기업중 대부분이
플랫폼 기업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현재 플랫폼 경제가 대세인 것 같네요!
하지만, 이용자들의 생태계로 돌아가는 플랫폼 경제에서
수익의 대부분은 플랫폼 사업자 위주로 돌아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데요,
함께 플랫폼을 키워온 소상공인, 생산자, 거래 참여자에게 이윤이 별로 남지 않는다는 거죠.
또한, 플랫폼 경제 내 과도한 경쟁으로
소상공민들의 생태계 파괴가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배달대행업체의 과다 수수료 논란)
출처: 뉴스1
플랫폼 경제와 프로토콜 경제는 어떻게 다를까요?
프로토콜 경제는 생산자와 거래 참여자, 플랫폼 운영자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투명한 참여형 경제를 만들기 위해 나타난 것으로
지금보다 근로자들이 조금 더 공정한 댓가를 받을 수 있는 사회로 변화시키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더 나은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플랫폼들의 대표 사례와
그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출처: 우버
플랫폼 경제 대표 사례 첫번째 : 우버
우버의 창업자와 운영자는 부를 축적하지만, 운전기사들은 그렇지 못했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앞으로의 프로토콜 경제에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
또한 미국증권거래위원회 (SEC)는 우버 기사에게 1년 보상금(연봉)의
15%까지 주식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합니다.
© InstagramFOTOGRAFIN, 출처 Pixabay
플랫폼 경제 대표 사례 두번째 : 에어비앤비
또 다른 글로벌 플랫폼 기업인 에어비앤비도 호스트에게 주식을 배분하기로 결정했는데요.
작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920만주를 숙박공유 호스트 기부펀드에 기부했습니다.
에어비앤비는 일회성이 아닌, 존재하는 한 호스트들과 우리의 성공을 나누기 원한다고 밝히며
호스트에 의해 기획되고 호스트를 위해 사용되길 원한다고 펀드 기부 목적을 밝혔습니다.
쿠팡 / 출처: 충청비즈
플랫폼 경제 대표 사례 세번째 : 쿠팡
쿠팡도 직원들에게 천억원 규모의 주식을 나눠주기로 했습니다.
자회사에서 일하는 배송 직원, 정규직과 계약직 직원의 일부가 그 대상입니다.
노동자 중 일부는 포함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으나 쿠팡 상장 후
1인 200만원에 해당하는 만큼을 받을 수 있으며
받고나서 2년간 일해야 100%인정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플랫폼 경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사례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데요.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플랫폼이지만, 때로는 사업자에게 너무 마진이 적게 돌아가는
'플랫폼 경제의 양면성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양쪽 모두의 깊은 관심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틸코블렛 홈페이지 바로가기
틸코블렛 컨설팅 바로가기
틸코블렛 카카오톡 상담 바로가기
'실시간 트랜드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부활, 2022년부터 시행되는 컵보증금 금액은? (0) 2021.02.24 코로나가 끝나도 지속될 한국의 라이프스타일 TOP (0) 2021.02.23 아마존(Amazon)창립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 CEO 자리를 내려놓다. (0) 2021.02.16 신종 SNS의 등장, 클럽하우스는 인스타그램 다음 타자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0) 2021.02.10 연말정산 월세액 이체증 발급 방법 알려드림 ! 월세액세액공제 아직도 안했으면 드루와~ (0) 2021.02.04